2022. 10. 18. 16:40ㆍ리눅스
vi 실행
- vi 에디터는 반드시 파일명을 추가해서 실행한다.
# vi 파일명
vi의 모드
- Windows용 에디터와는 달리 에디팅하는 모드와 이를 편집하는 모드가 다르다.
‐ 명령모드 : 입력이 외의 편집작업
‐ 입력 모드 : 데이터 입력 및 수정
‐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명령 모드에서 삽입 모드로 변경
-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
- 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
-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삽입하고 입력
- I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앞에 입력
- A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뒤에 입력
명령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변경
- :
삽입, 실행 모드에서 명령모드로 변경
- [ESC]
삽입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직접 변경은 불가능하다.
이동
- h, j, k, l (왼쪽,아래,위,오른쪽)
- gg, G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 nG (n 라인으로 이동)
- ^f(앞으로(아래)), ^b(뒤로(위로
- )), ^d, ^u (화면단위 이동)
삭제
x (글자 삭제)
dd (라인 삭제)
dw (단어삭제)
D (커서뒷부분 삭제)
검색
/문자열
n (검색상태에서 순방향으로 재 검색, /와 동일)
N
환경 설정
- :set [환경변수] [값]
환경변수
- nu (라인번호 표시)
- sm (반대 괄호 표시)
- :wq (저장 후 종료 )
-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
- :w [파일명] (저장 또는 지정한 파일명으로 내용저장)
‐ 새 이름으로 저장하는 방법은 Windows와 다름으로 주의한다.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관리 (0) | 2022.10.19 |
---|---|
리눅스 기초명령어 3(tar, gzip, bzip, clock, date, rdate) (0) | 2022.10.19 |
리눅스 기초 명령어 2(ln, more, |, grep, head, tail, find) (0) | 2022.10.18 |
리눅스 기초명령어 1(cd, pwd, rmdir, mkdir, ls, 리다이렉트, cat, echo, cp, mv, rm) (0) | 2022.10.18 |
리눅스 기초(명령어 표기 및 디렉토리 표현방법)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