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8. 17:46ㆍ네트워크
Ethernet
성능
- 일정 수준 이상으로 node가 증가하면 각 node가 사용가능한 대역폭은 줄어든다.
- node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네트워크의 가용성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 단일 segment만으로 모든 node의 수용이 불가능해 필연적으로 확장필요
- Repeater
- Bridge(Switch)
- Router
Repeater
- 신호를 증폭하는 물리적인 장비
- 더미 허브(Dummy HUB)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
- 허브란 용어는 90년대까지 더미허브를 의미했지만 시장에서 더미허브가 없어지고
이제는 스위치 허브를 허브라고 부른다.
- 5개의 segment를 4개의 리피터로 연결하고 패킷이 전송이 정상적이면
장치에 이상은 없다. 단 이때 3개의 segment만 node를 갖는다.
- 단지 TEST 환경일 뿐이다. 이외 아무런 의미는 없다.
Bridge, Switch hub
- Mac address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패킷을 필터링
- Bridge table에는 MAC address 저장
- 네트워크를 매우 크게 확장 가능(대규모 단일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
- WAN 망으로 구성할 때 Broadcast storm현상이 발생
(** Broadcast storm: 브리지에 흘러가는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많으면 네트워크가 다운되는 현상)
- LAN 내부에서 발생하기는 어렵다.
기능
Learning
- Bridge가 소스주소(송신주소)를 보고 Bridge table에 MAC address를 채우는 과정
Filtering
- 어느 목적지로 가야할지 패킷을 필터링하는 과정
Forwarding
- 목적지를 확인해 현재 포트에서 해당 포트로 패킷을 보내는 과정
Flooding
- 데이터를 전송한 목적지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Aging
- 사용하지 않는 MAC address를 table에서 없애는 것
- Multi Port Bridge(Switch HUB)
- Bridge Table에 없는 MAC 주소는 어떻게 처리될까?
Broadcast storm
- LAN TO WAN 구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Serial 병목 구간에 forwarding되는 broadcast packet로 인해 발생한다.
- 70~80년대 흔한 문제였으나 이후는 네트워크 구성이 바뀌어 보기 어렵다.
Route
- 네트워크 주소가 다른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하는 역할
- 장치의 메모리를 훨씬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 처리지연이 증가하지만 전체 성능에 영향은 거의 없다.
- 경로를 배정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된다.(RIP, OSPF,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PING, TRACERT, ARP, RARP (0) | 2022.10.20 |
---|---|
NAT (0) | 2022.10.20 |
IP (0) | 2022.10.18 |
Mac Address (0) | 2022.10.18 |
네트워크 1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