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022. 10. 20. 12:45리눅스

NIC 지원

Network  Interface Card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 리눅스의 경우 ens32, ens34(eth0, eth1)… 등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net‐tools 패키지에 포함된
 - CentOS7 Minimal 설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 yum install –y net‐tools

 

디바이스 파일

 - /lib/modules/3.10.0‐693.el7.x86_64 /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한다.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 하거나 설정을 변경한다.
 - 변경 내용은 영구적이지 않다.   
  # ifconfig
  # ifconfig [NIC명]
  # ifconfig [NIC명]  [IP]  netmask [mask명] [up|down]

 

EX)

[root@Linux1 ~]# ifconfig
ens32: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10.161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0.255
        inet6 fe80::c578:e29b:ca1f:baee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0:0c:29:37:1b:42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5569  bytes 644512 (629.4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1828  bytes 271661 (265.2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10<host>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32  bytes 2592 (2.5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32  bytes 2592 (2.5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virbr0: flags=4099<UP,BROADCAST,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122.1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22.255
        ether 52:54:00:80:69:cf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TCP/IP 설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명
  ‐> 네트워크 설정 : IP, subnetmask, gateway …
 - /etc/resolv.conf
  ‐> DNS Server
 - /etc/hostname
  ‐> 호스트명

 

추가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
  ‐> 호스트명,  gateway, NOZEROCONF=yes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TYPE=Ethernet
BOOTPROTO=[static/dhcp/bootp/none]
DEVICE=nic명
UUID=UUID명
ONBOOT=[yes/no]
IPADDR=IP
PREFIX=Subnet Mask
GATEWAY=gateway 주소
DNS1=dns 서버 주소
......
......

 

/etc/resolv.conf

 - search [default 도메인명]
 - nameserver [DNS 서버 IP]
 - ifcfg‐ens32 파일과 다른 설정인 경우 재 부팅하면 ifcfg‐ens32 파일의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된다.
 - named 서버 test시에 임시 설정은 이 파일을 이용한다.

 

/etc/sysconfig/network

 - NOZEROCONF=yes
 -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을 위하여 예약된 subnet 설정을 제거한다.
 - 반드시 필요한 옵션은 아니다.

 

EX)

[root@Linux1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none"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s32"
UUID="b9a0b3c2-38f5-416a-85db-86e71724e485"
DEVICE="ens32"
ONBOOT="yes"
IPADDR="192.168.10.161"
PREFIX="24"
GATEWAY="192.168.10.1"
DNS1="192.168.10.11"
IPV6_PRIVACY="no"

 

[root@Linux1 ~]# cat /etc/resolv.conf
# Generated by NetworkManager
nameserver 192.168.10.11

 

[root@Linux1 ~]# cat /etc/sysconfig/network
# Created by anaconda

 

네트워크 재시작

# systemctl [stop | start | restart]  network
 - 파일을 수정한 이후에는 반드시 네트워크를 재 시작 해야 한다.
 - NM(Network Manager)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설정은 반드시 NM을 이용한다.
 - CentOS6 이전 버전
 # service network [stop | start | restart]

 

Xwindows에서 네트워크 설정

 - NetworkManager를 이용한 설정한다.
 - 설정 전에 NetworkManager 서비스를 시작한다.
  #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service
 -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설정] – [네트워크] 메뉴에서 설정한다.
 - 이전 버전에서는 system‐config‐network을 통해서 설정 가능했다.
 -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된다.
 - NM이 활성화된 경우 파일 편집이나 ifconfig 명령에 의한 설정 변경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

 

실습)

windows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 -> 서비스

 

Linux

[root@Linux1 ~]# ntsysv

마킹 되어있는곳은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

네트워크 재시작

# systemctl [stop | start | restart]  network

 - network manager와 같은작업이다

 - network manager부분을 전부 체크해제하면 xwindows로 네트워크에 들어갈때 관리자에게 확인받으라고 뜬다

 

[root@Linux1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none"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s32"
UUID="b9a0b3c2-38f5-416a-85db-86e71724e485"
DEVICE="ens32"
ONBOOT="yes"
IPADDR="192.168.10.161"
PREFIX="24"
GATEWAY="192.168.10.1"
DNS1="192.168.10.11"
IPV6_PRIVACY="no"

 

 - vi로 편집 -> IP, Gateway, DNS1 편집 -> # systemctl restart network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YUM  (0) 2022.10.20
PING, NETSTAT, ARP, HOST, LOOKUP, DIG, IP ALIASES  (0) 2022.10.20
파일시스템 및 파티션  (0) 2022.10.20
파일 구조 및 퍼미션  (0) 2022.10.19
사용자 관리  (0)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