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31. 09:57ㆍ리눅스
오라클 리눅스 설치
or
1.Vmware 설치
- /boot : 500M, swap : 8G, / : 나머지
- 나머지 설정은 동일하다.
이전 블로그 내용 참고하여 설치
1. Linux 내부에 SQL 설치
root계정
[root@LINUX165 ~]# groupadd -g 1900 dba
[root@LINUX165 ~]# useradd -g dba -u 1900 ora19c
[root@LINUX165 ~]# passwd ora19c
ora19c 사용자의 비밀 번호 변경 중
새 암호:
새 암호 재입력:
passwd: 모든 인증 토큰이 성공적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root@LINUX165 ~]# mkdir -p /app/ora19c/19c
[root@LINUX165 ~]# mkdir -p /app/oraInventory
[root@LINUX165 ~]# chown -R ora19c.dba /app/ora19c
[root@LINUX165 ~]# chown -R ora19c.dba /app/oraInventory
[root@LINUX165 ~]# chgrp -R dba /app
[root@LINUX165 ~]# chmod -R 775 /app
[root@LINUX165 ~]# ls -al /app
합계 0
drwxrwxr-x 4 root dba 40 10월 31 13:18 .
dr-xr-xr-x. 18 root root 255 10월 31 13:17 ..
drwxrwxr-x 3 ora19c dba 17 10월 31 13:17 ora19c
drwxrwxr-x 2 ora19c dba 6 10월 31 13:18 oraInventory
2. (Root 계정)리눅스 설정
================================================================
[root@ora19c /]# vi /etc/hosts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9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1 localhost6.localdomain6 localhost6
192.168.10.165 DB19.itclass.co.kr DB19
**인스턴스 : DB19**
3. 방화벽 Down
[root@Linux166 ~] ntsysv -> firewalld.service 체크해제
[root@Linux166 ~] vi /etc/selinux/config / SELINUX=disabled
4. (Root계정)추가 패키지 설치
[root@ora19c ~]# yum -y install ksh
[root@ora19c ~]# yum -y install libaio-devel
[root@ora19c ~]# yum -y install compat-libcap1
[root@ora19c ~]# yum -y install compat-libstdc++-33
[root@ora19c ~]# yum -y install glibc-devel
[root@ora19c ~]# yum -y install libstdc++-devel
[root@ora19c ~]# yum -y install gcc-c++
[root@ora19c ~]# yum install -y https://yum.oracle.com/repo/OracleLinux/OL7/latest/x86_64/getPackage/oracle
-database-preinstall-19c-1.0-1.el7.x86_64.rpm
다운 받은 경우
[root@ora19c ~]# rpm -Uvh oracle-database-preinstall-19c-1.0-1.el7.x86_64.rpm
5. (ora19c 계정)Ora19c 계정 설정 **
[ora19c@ora19c ~]$ vi .bash_profile
.............
.............
# oracle setup
export ORACLE_OWNER=ora19c
export ORACLE_BASE=/app/ora19c
export ORACLE_HOME=/app/ora19c/19c
export TNS_ADMIN=$ORACLE_HOME/network/admin
export ORACLE_SID=DB19
export NLS_LANG=AMERICAN_AMERICA.AL32UTF8
export ORACLE_HOSTNAME=DB19.itclass.co.kr
export TMP=/tmp
export TMPDIR=$TMP
export PATH=$PATH:$ORACLE_HOME/bin:$ORACLE_HOME:/usr/bin:.
================================================================
ora19c 계정으로 재로그인 후 설정을 확인한다.
================================================================
[ora19c@ora19c ~]$ env | grep ORACLE
ORACLE_OWNER=ora19c
ORACLE_SID=DB19
ORACLE_BASE=/app/ora19c
ORACLE_HOSTNAME=DB19.itclass.co.kr
ORACLE_TERM=xterm
ORACLE_HOME=/app/ora19c/19c
================================================================
6. 압축파일 LINUX.X64_193000_db_home 파일을 리눅스 안에있는 ftp로 받기에는 너무오래걸려서
IP : 192.168.10.160에 먼저받고 ftp프로그램(파일질라)으로 옮기는 작업
[root@Linux166 ~]# yum -y install vsftpd
[root@Linux166 ~]# systemctl start vsftpd
파일질라
IP : 192.168.10.165,6 / 사용자명 : ora19c / 비밀번호 : zaqxsw123
PATH : /app/ora19c/19c
or
[root@Linux166 ~]# yum -y install ftp
ora19c계정, PATH : /app/ora19c/19c
[ora19c@Linux166 ~]# ftp 192.168.10.16*
ftp> cd data/down/DB/DBMS
ftp> get LINUX.X64_193000_db_home.zip
ftp> exit
7. (ora19c 계정)압축 해제
[ora19c@ora19c 19c]$ unzip LINUX.X64_193000_db_home.zip
8. (Putty말고 xwindows에서 입력)인스톨러 실행
설치 파일은 database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
[ora19c@ora19c 19c]$ ./runInstaller
================================================================
9. 설치과정 (간략화)
데스크탑 클래스 선택
데스크탑 클래스 - 기본적인 설정이 이미 되어있다
서버 클래스 - 세부적인 설정을 할수있다.
인벤토리 생성
전체 데이터베이스 이름 : DB19
컨테이너 데이터베이스로 생성 체크해제
루트 스크립트 실행
자동으로 구성 스크립트 실행
루트 사용자 인증서 사용 체크 root 비번 입력
나머지는 그냥 다음 진행
설치
완료
[ora19c@LinuxQ 19c]$ sqlplus / as sysdba
SQL> shutdown immediate;
SQL> startup
- 설정이 제대로안되어있으면 다시 startup이 안될수도있음
lsnrctl status oracle 내용 확인
sqlplus / as sysdba 접속
사용자 계정 생성 (교안 참고)
완료
사용자계정접속
sqlplus st09/zaqxsw123
네트워크 설정 교안 참고(오라클 Q2 네트워크 설정)
완료
ORACLE 자동실행 설정 교안 참고(오라클 Q3 자동실행)
administrator
operationg 시스템에 특별한 그룹에 있는 사용자는접속가능
sqlplus / as sysdba - 관리자 db접속
리눅스 자체에 보안에 의존 / 리눅스 root계정이 해킹당하면 db는 금방 해킹당한다.
redo - 다시 수행
undo - 앞에 것을 취소
Redo Buffers - 내가 한 작업들을 저장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S (0) | 2022.10.27 |
---|---|
DNS서버 (1) | 2022.10.24 |
CRON/RSYNC (0) | 2022.10.21 |
RPM/YUM (0) | 2022.10.20 |
PING, NETSTAT, ARP, HOST, LOOKUP, DIG, IP ALIASES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