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네트워크 - Switch, STP

2022. 11. 23. 08:56네트워크

CISCO Switch

 

Switch HUB의 이해와 설정

 

ETHERNET CSMA/CD(BUS)

node(mac address 필요) -> frame -> frame

 

Switch의 기능

 - Switch는 segment 연결 장치인 Bridge가 확장된 장비이다. 
 - Switch와 Bridge의 작동 방식, 알고리즘은 동일하다
 - Multiport bridge = switch HUB.
 - 실제 사용된 bridge는 switch와 H/W 구성이 많이 다르다.

 

Switch의 기본 기능
 - Learning
 - Filtering
 - Forwarding
 - Flooding
 - Aging

 

Switch 설정
 - STP : Spanning Tree Protocol : 패킷을 순환되는것을 막아주는 기능
 - VLAN

 

Switch# show [옵션]
 ip interface brief       : 인터페이스별 설정 정보 
 interface [if명]         :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
 spanning‐tree : STP 관련 정보
 cdp neighbor             : 주변 장비 확인
 cdp neighbor detail      : 인접 장비 정보 확인
 running‐config           : 설정 정보 확인
 ………

 

스위치 상태 확인
 - 관리자 모드에서 실행한다.
 - show interface [status | if_명 | vlan #]
 - show interface status

Switch# show interface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a0/1                       connected 1      auto     auto 10/100BaseTX
Fa0/2                       connected 1      auto     auto 10/100BaseTX
Fa0/3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4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

 

 - show interface vlan 1

Switch# show interface vlan 1
Vlan1 is administratively down, line protocol is down
Hardware is CPU Interface, address is 0001.6439.95bd (bia 0001.6439.95bd)
MTU 1500 bytes, BW 100000 Kbit, DLY 10000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

 

- show running‐config(show run) - 스위치의 현재 실행상태를 알고 싶을때 사용

Switch# show running‐config
Building configuration...
Current configuration : 1078 bytes
!
version 12.1
no service timestamps log datetime msec
no service timestamps debug datetime msec
no service password‐encryption ......
......

 

STP

 

BID(Bridge ID)
 - 스위치 식별 정보
 - Switch ID가 아니라 BID다.
 - 8byte(64bit)로 구성된다.
 - Bridge Priority(2byte) + Mac Address(6byte)
 - Bridge Priority default : 32768 (0~65535)
 - 필요하다면 수정 가능하다.
 - 4096의 배수로 설정 가능
 - 작을 수록 우선 순위가 높다.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 각 스위치가 부팅 후 2초마다 BID등의 정보를 교환한다.
 - Path cost, BID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 스위치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회선에 문제가 발생시에 10개 이상의 BPDU에 에러가 발생하면 새로운 경로를 설정한다.

 

Path cost
 - 데이터 전송비용
 - 1000Mbps를 링크 대역폭으로 나눈 값 : IEEE 802.1D
 - Fast ethernet(100M bps) : 1000/100=10
 - Giga ethernet : 1000/1000=1
 - 빠를 수록 적은 값을 가진다.
 - 다양한 대역폭으로 인해 복잡한 값의 path cost가 계산됨으로 이를 단순화 함.

STP는 looping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다.
 - 자동화된 기능이다.
 - 다중 경로를 하나의 경로로 자동 구성하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경로를 수정한다.

STP 구현
① 네트워크에 Root bridge를 선정한다.
     - 나머지 모든 스위치는 non root bridge가 된다.
② 모든 non root bridge는 하나의 root port를 갖는다.
③ 연결마다 하나씩 데지그레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 선정한다.
④ Non designated port를 선정한다.

step 1. Root bridge 설정
 - 각 스위치는 BID(Bridge ID)를 갖는다.
 - 스위치는 부팅이후 매 2초마다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를 송수신한다.
 - BID = priority + MAC
 - BID가 가장 작은 SW가 root bridge(switch)가 된다.

 

step 2. Root port를 결정한다.
 - Non root switch에서 root switch까지 가장 빠른 경로에 연결된 port를 찾는다.
 - 경로의 cost가 동일한 경우 BID가 낮은 switch를 통과하는 경로의 port가 root port가 된다.

 

step 3. Designated port(지정 포트)를 결정한다.

 - 각 segment에서 root switch까지 가는 가장 cost가 낮은 port를 designated port라고 한다.

 

step 4. Port Block과 STP 완성

 - 연결된 링크 중에 root port나 designated port가 아닌 포트는 block 한다.

 

Root Bridge 변경 명령어

sw4(config)# spanning‐tree vlan 1 root primary
sw4(config)# do show spanning‐tree

 

 

 - VLAN(Virtual LAN)은 스위치내부를 여러 개의 독립 스위치 장비처럼 분할해주거나 이웃 스위치와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을 차단해주는 역할 제공한다.

 - 각각의 VLAN 은 마치 단독의 별도 장치처럼 패킷을 송수신한다.

 - VLAN은 각 스위치의 포트별로 설정하며 기본값은 모든 포트가 VLAN1에 속해 있다.

 

 

VLAN - Trunk 설정

 - Sw1과 Sw2를 Gig0/1로 연결한 양쪽 포트를 트렁크로 정의하면 모든 VLAN 패킷을 전달한다.

   - Sw1과 Sw2에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다.

sw1(config)# int gig0/1
sw1(config‐if)# no 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 no switchport access vlan 10
sw1(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sw1(config‐if)# do show int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Gig0/1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Gig0/1      1‐1005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Gig0/1      1,10,2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Gig0/1      1,10,20

 

트렁크 포트를 통한 VLAN 패킷은 모두 전달 가능하지만 일부 VLAN만 사용하고 하는 경우 VLAN별로

트렁크 포트 전송을 제한가능하다.

 -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 | all | add | remove |
   except | none]
 ex)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 
 all/none :  모든 VLAN 활성화/비활성화
 add ## : VLAN 추가
 remove ## : VLAN 삭제 
 except ## : 지정 VLAN 제외하고 모두 활성화

sw1(config)# int gig0/1
sw1(config‐if)#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except 1
sw1(config‐if)# do show int trunk
....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Gig0/1      10,20
....

 

VLAN Routing
VLAN간에 통신은 반드시 L3 장치를 통해서 가능하다.
 - VLAN 10 : 192.168.10.0/24 : fa10 ~ fa14
 - VLAN 20 : 192.168.20.0/24 : fa20 ~ fa24
 - S0 gi0/1, gi0/2는 각각 R0의 gi0/0, gi0/1에 연결.
 - VLAN 10 GW : R0 gi0/0
 - VLAN 20 GW : R0 gi0/1

 

스위치 설정

S0(config)# vlan 10
S0(config‐vlan)# name vlan10
S0(config‐vlan)# vlan 20
S0(config‐vlan)# name vlan20
S0(config‐vlan)# do show vlan
. . . . .
S0(config‐if‐range)# interface range fa0/10‐14, gi0/1
S0(config‐if‐range)# switchport access vlan 10
S0(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access
S0(config‐if‐range)# int range fa0/20‐24, gi0/2
S0(config‐if‐range)# sw ac vlan 20
S0(config‐if‐range)# sw mode access
S0(config‐if‐range)# do show vlan
. . . . .
10   vlan10                           active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Gig0/1
20   vlan20                           active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2
. . . . .

 

라우터 설정

R0(config)# interface  gi0/0
R0(config‐if)# 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R0(config‐if)# no shutdown
R0(config‐if)# int gi0/1
R0(config‐if)# ip address 192.168.20.1 255.255.255.0
R0(config‐if)# no sh
R0(config‐if)# do show ip int brief
Interface              IP‐Address    OK? Method Status                Protocol
GigabitEthernet0/0     192.168.10.1  YES manual up                    up
GigabitEthernet0/1     192.168.20.1  YES manual up                    up
Vlan1                  unassigned    YES unset  administratively down down

 

VLAN - Trunk_Routing

 

스위치 설정
 - 이전 실습에 사용한 S0를 수정한다.

S0(config‐if‐range)# interface range gi0/1‐2
S0(config‐if‐range)# no sw ac vlan
S0(config‐if‐range)# do show vlan
. . . . .
S0(config)# int gi0/1
S0(config‐if)# sw mode trunk
S0(config‐if)# do show int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Gig0/1      on           802.1q         trunking 1
. . . . .

 - 새로 실습을 진행하는 경우 명령어 실행 과정을 작성하세요.

 

라우터 설정 - 설정 삭제
 - 이전 실습 파일을 이용하는 경우만 ..

R0(config)# int gi0/0
R0(config‐if)# no ip address
R0(config‐if)# shutdown
R0(config)# int gi0/1
R0(config‐if)# no ip address
R0(config‐if)# shutdown
R0(config‐if)# do show ip int brief
Interface           IP‐Address    OK? Method Status                  Protocol
GigabitEthernet0/0  unassigned    YES manual administratively down   down
GigabitEthernet0/1  unassigned    YES manual administratively down   down
Vlan1               unassigned    YES unset  administratively down   down

 

라우터 설정 - 트렁크 포트 라우팅
 - 스위치의 트렁크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VLAN 패킷을 정상 처리하기 위해서는 

   라우터의 포트에 두가지 기능이 필요하다.

 

① 포트에 여러 IP 설정이 가능해야 한다.
② 여러 VLAN 패킷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라우터 포트에 여러 IP 설정
 - 유닉스나 리눅스와 비슷한 방법으로 서브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한다.
 - gi0/0인 경우 gi0/0.10, gi0/0.20 … 

 

여러 VLAN 패킷 처리
 - 각 인터페이스에 다중 VLAN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config‐subif)# encapsulation dot1q [vlan]

 

라우터 설정

R0(config)# int gi0/0
R0(config‐if)# no sh
R0(config‐if)# int gi0/0.10
R0(config‐subif)# encapsulation dot1q 10
R0(config‐subif)# 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R0(config‐subif)# int gi0/0.20
R0(config‐subif)# encapsulation dot1q 20
R0(config‐subif)# ip address 192.168.20.1 255.255.255.0
R0(config‐subif)# do show ip int brief
Interface              IP‐Address      OK? Method Status                
Protocol
GigabitEthernet0/0     unassigned      YES manual up                    up
GigabitEthernet0/0.10  192.168.10.1    YES manual up                    up
GigabitEthernet0/0.20  192.168.20.1    YES manual up                    up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네트워크 - 방화벽  (0) 2022.11.30
CISCO 네트워크 - Router  (0) 2022.11.29
CISCO 네트워크 - IOS  (0) 2022.11.23
ICMP, PING, TRACERT, ARP, RARP  (0) 2022.10.20
NAT  (0) 2022.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