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9. 19:05ㆍ네트워크
Router
-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 물리적인 환경과는 무관하게 네트워크 ID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 라우팅이 지원되는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하다.
- IP, IPX 등
- 라우팅을 제공하는 장치는 라우터 이외에도 거의 모든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OS에서 가능하다.
- 리눅스, 유닉스, 윈도우 등등
Routing protocol
- static
- RIP
- OSPF
- EIGRP
- BGP
Routing Protocol
Distance Vector
- Hop count base
- RIP
Link-State
- Cost base
- OSPF, IS-IS
Advanced Distance Vector
- EIGRP
Classful
- Subnet mask를 교환하지 않는다.
- RIP, IGRP
Classless
- Subnet mask를 교환한다.
- RIPv2, OSPF, EIGRP, IS-IS, BGP
Bast path : Administrative Distance
- 동일 목적지에 대한 경로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해 수집될 경우 Protocol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Bast path를 결정한다.
- 다양한 구조의 네트워크에서 Router가 사용되며 최근에는 방화벽과 라우터가 하나의
장비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게이트웨이
- 라우터
- 방화벽
- 초기 인터넷에서 모든 단위 네트워크의 구분에 라우터가 이용되었으나 IP 고갈등의
문제로 ISP의 상당수 서비스는 라우터를 기반으로하지 않는다.
- 중소규모의 최종 사용자 네트워크에 라우터가 점점 쓰이지 않는다.
- Router간 연결이나 ISP 연결 환경이 serial에서 광이나 UTP와 같인
LAN 매체로 바뀌고 있다.
정적(Static) 라우팅
- 정적 라우팅은 모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직접 관리자가 입력해주는 방식이다.
- 단순 경로 네트워크나 단일 외부 경로를 가진 최종 사용자 네트워크에 매우 유용하다.
- 라우터 장치 이외에 리눅스나 유닉스 윈도우즈등의 OS에서도 기본적인 기능으로 제공된다.
- 일반 PC나 서버도 로컬 라우터로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
라우터 Setup
R1
R1(config)# int g0/1
R1(config‐if)# ip add 192.168.1.1 255.255.255.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int s0/0/0
R1(config‐if)# ip add 192.168.12.1 255.255.255.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do show ip int brief
. . . . .
GigabitEthernet0/1 192.168.1.1 YES manual up up
Serial0/0/0 192.168.12.1 YES manual down down
. . . . .
R1# show ip route
. . . . .
192.168.1.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1.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92.168.1.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192.168.12.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1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L 192.168.12.1/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R2
R2(config)# int g0/1
R2(config‐if)# ip add 192.168.2.1 255.255.255.0
R2(config‐if)# no sh
R2(config‐if)# int s0/0/0
R2(config‐if)# ip add 192.168.12.2 255.255.255.0
R2(config‐if)# no sh
R2(config‐if)# do show ip int brief
. . . . .
GigabitEthernet0/1 192.168.2.1 YES manual up up
Serial0/0/0 192.168.12.2 YES manual up up . .
. . . . .
R2# show ip route
. . . . .
192.168.2.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2.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92.168.2.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192.168.12.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1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L 192.168.12.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정적 라우팅 ‐ Default 라우팅
Default 라우팅
-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입력할 수 없음으로 기본 라우팅 정보를 입력한다.
- 명령
ip route 0.0.0.0 0.0.0.0 [next_ip | exit_interface]
ex) ip route 0.0.0.0 0.0.0.0 serial0/0/0
- 0.0.0.0 : 쿼드 제로 네트워크 주소및 서브넷마스크
- 라우팅 정보가 없는 모든 네트워크와 서브넷마스크를 의미한다.
- 라우팅 경로가 다중 경로인 경우 default 경로가 지정되더라도 경로 지정이 필요하다.
- 인터넷 단일 경로 라우터의 경우 매우 유용하다.
R1
- R1(config)# ip route 0.0.0.0 0.0.0.0 serial0/0/0
- R2 에서도 동일하게 기존 라우팅 정보를 삭제하고 default 라우팅정보를 입력한 후 작동을 확인한다.
동적 라우팅
범위
-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RIP(v1, v2), IGRP, OSPF
-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EGP, BGP
라우팅 정보
- Distance Vector : RIP(v1, v2), IGRP
- Link State : OSPF
VLSM
- Classful : RIP v1, IGRP
- Classless : RIP v2, OSPF
RIP
Router에 RIP 설정
- 라우터가 알고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하도록 지정한다.
- src : UDP(520), 출발지 ip
- dst : UDP(520), 224.0.0.9(Multicast IP)
- Classful 알고리즘이므로 넷마스크를 입력하지 않는다.
- 라우터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입력한다.
명령어
- router [rip | ospf | eigrp | bgp]
: 각 프로토콜 설정모드로 진입한다.
- network [IP]
: 광고할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한다.
: 라우터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한다.
: rip은 넷마스크를 입력하지 않는다.
* udp, tcp중 udp가 더 빠른 이유 - 혼잡제어를 하지않는다.*
불필요한 업데이트 금지
- R1이나 R2, R3의 GigbitEthernet 영역은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라우터가 없는 곳이므로
해당 인터페이스로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 passive‐interface [interface]
: 해당 인터페이스로는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R1(config‐router)# passive‐interface g0/0
R1# show running‐config
Routing 정보 확인
R1# show ip route rip
RIP v2 설정
R1(config)# no router rip
R1(config)# router rip
R1(config‐router)# version 2
R1(config‐router)# no auto‐summary
R1(config‐router)# network 1.1.1.0
R1(config‐router)# network 12.1.1.0
R1(config‐router)# network 31.1.1.0
- R2, R3, R4 설정 동일하게 변경
변경 정보 전달(Route Poisoning, Poisoning Reverse)
- 라우터에 변경(장애나 수정)이 발생하면 즉시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전달한다.
- 이때 접근 이 불가능한 16 hops를 전달한다.
- R3의 G0/0을 다운시키고 전달되는 라우팅 정보를 확인한다.
RIP ‐ extra : default route
RIP을 이용한 default route 정보 전달
- 정적 라우팅 환경에서는 라우터에 직접 default route 정보를 설정했으나 RIP에서는
default route 정보를 RIP를 통해 전달 가능하다.
명령
-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 RIP을 통해 default route 정보를 전달한다.
Default router 설정
- default route 설정은 정적 라우팅 설정과 동일하다.
- 외부 네트워크로 local loopback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 loopback 인터페이스를 인터넷(ISP) 연결로 간주한다.
-loopback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한다.
R1(config)# int loopback0
R1(config‐if)#
%LINK‐5‐CHANGED: Interface Loopback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Loopback0, changed state to up
R1(config‐if)# ip add 10.10.10.1 255.255.255.0
R1(config‐if)# do show ip int brief
Interface IP‐Address OK? Method Status Protocol
GigabitEthernet0/0 1.1.1.1 YES manual up up
GigabitEthernet0/1 unassigned YES unset administratively down down
Serial0/0/0 12.1.1.1 YES manual up up
Serial0/0/1 31.1.1.1 YES manual up up
Loopback0 10.10.10.1 YES manual up up
Vlan1 unassigned YES unset administratively down down
- 가상 인터페이스로 no shutdown 명령이 불필요하다.
- 10.10.10.0/24는 RIP 라우팅에 등록하지 않는다.
default route 인터페이스를 지정하고 이를 rip이 광고하도록 설정한다.
R1(config)# ip route 0.0.0.0 0.0.0.0 loopback0
R1(config)# router rip
R1(config‐router)#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R1# show ip route
......
......
......
L 192.168.14.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1
S* 0.0.0.0/0 is directly connected, Loopback0
- R2, R3 에서도 default route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한다.
R2# show ip route
......
R* 0.0.0.0/0 [120/1] via 12.1.1.1, 00:00:22, Serial0/0/1
R3# show ip route
......
......
R* 0.0.0.0/0 [120/2] via 31.1.1.1, 00:00:19, Serial0/0/0
- PC2, PC3 에서도 10.10.10.1에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네트워크 - OSPF (0) | 2022.12.05 |
---|---|
CISCO 네트워크 - 방화벽 (0) | 2022.11.30 |
CISCO 네트워크 - Switch, STP (0) | 2022.11.23 |
CISCO 네트워크 - IOS (0) | 2022.11.23 |
ICMP, PING, TRACERT, ARP, RARP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