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
-
NAT
NAT(공유기) - ip부족현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방법이없다. - 보안에 자주 사용한다. - 공인 IP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기술이다. NAT 특징 - 사설 IP와 공인 IP 1:1, 1:N 모두 가능하지만 1:1 구현은 현재 쓰이지 않는다. - 리눅스와 같은 UNIX에서 masquerading(마스커레이딩)이란 명칭으로 firewall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다. - 기능을 제공하는 단독형 장비를 공유기라고 부른다. - NAT는 원래 IP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장비이지만 부가적으로 외부 침입에 대해서 근본적인 접근을 허용하지 않음으로 현재는 방화벽의 일부로 인정된다. -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끼쳤으나 현재는 이와 별 상관이 없다. NAT 구성 공유기를 이용한 ..
2022.10.20 -
파일 구조 및 퍼미션
파일 구조 및 종류 실습) [root@linux1 ~]# ls ‐l *.cfg ‐rw‐‐‐‐‐‐‐. 1 root root 1720 8월 30 16:33 anaconda‐ks.cfg [root@linux1 ~]# ls ‐al | grep ^d dr‐xr‐x‐‐‐. 6 root root 248 9월 7 17:05 . dr‐xr‐xr‐x. 18 root root 237 9월 6 15:54 .. drwxr‐xr‐x 3 root root 18 9월 7 10:47 .cache drwxr‐xr‐x 3 root root 18 9월 7 10:47 .config drwx‐‐‐‐‐‐ 2 root root 29 9월 7 10:47 .ssh [root@linux1 ~]# cd /dev [root@linux1 dev]# ls ‐..
2022.10.19 -
rc.local 권한 변경 및 확인
[root@Linux1 ~]# cd /etc/rc.d [root@Linux1 rc.d]# ls init.d rc.local rc0.d rc1.d rc2.d rc3.d rc4.d rc5.d rc6.d [root@Linux1 rc.d]# pwd /etc/rc.d [root@Linux1 rc.d]# vi rc.local [root@Linux1 rc.d]# rdate -s time.bora.net [root@Linux1 rc.d]# [root@Linux1 rc.d]# chmod u+x rc.local [root@Linux1 rc.d]# ls -al 합계 16 drwxr-xr-x. 10 root root 127 10월 12 16:13 . drwxr-xr-x. 144 root root 8192 10월 12 14:3..
2022.10.19 -
사용자 관리
사용자 등록 정보 ‐ /etc/passwd ‐ 사용자의 기본 등록 정보가 저장 ‐ 사용자 패스워드의 경우 shadow password 사용 ‐ useradd 명령을 이용 등록 ‐ 사용자의 직접수정이 가능(추천하지 않는다)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토리:쉘 사용자 패스워드, 암호정책 정보 ‐ /etc/shadow # cat /etc/shadow ………… ora12c:$6$2JwICah……94Bf2S9Bq/:18162:0:99999:7::: 계정 : 암호 : 최종변경일 : 암호최소사용일: 암호최대유효기간 : 암호 만료까지 경고기간 : 암호만료뒤 계정 폐쇠까지 기간 : 계정이 만료일 : 예비 - pwc..
2022.10.19 -
리눅스 기초명령어 3(tar, gzip, bzip, clock, date, rdate)
tar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한다. 단 용량은 줄어들지 않는다.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gzip을 이용하거나 특별한 옵션을 이용한다. # tar [옵션] [압축파일명] [대상] ‐c : 압축, ‐x : 풀기, ‐v : 작업내용을 출력 ‐z : gzip를 이용 압축(압축해제), ‐j : bzip2 이용 ‐f : 파일명을 지정, ‐p : 퍼미션 유지 실습) [root@Linux1 ~]# mkdir -p ./aa/a/ [root@Linux1 ~]# echo 1 > ./aa/a.txt [root@Linux1 ~]# echo 2 > ./aa/a/a.txt [root@Linux1 ~]# ls aa anaconda-ks.cfg initial-setup-ks.cfg [root@Linux1 ~]# tar ..
2022.10.19 -
Ethernet
Ethernet 성능 - 일정 수준 이상으로 node가 증가하면 각 node가 사용가능한 대역폭은 줄어든다. - node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네트워크의 가용성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 단일 segment만으로 모든 node의 수용이 불가능해 필연적으로 확장필요 - Repeater - Bridge(Switch) - Router Repeater - 신호를 증폭하는 물리적인 장비 - 더미 허브(Dummy HUB)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 - 허브란 용어는 90년대까지 더미허브를 의미했지만 시장에서 더미허브가 없어지고 이제는 스위치 허브를 허브라고 부른다. - 5개의 segment를 4개의 리피터로 연결하고 패킷이 전송이 정상적이면 장치에 이상은 없다. 단 이때 3개의 segment만 node를 갖는다. - ..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