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
-
oracle 1. net
용어 정리 $~ : 환경변수 sqlplus(user process) : 유저 프로세스 server process : user process가 database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간다리 역할 process listener process : 외부에서 접속 할 수 있도록 중간다리 역할 해주는 process tnsnames.ora :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외부 컴퓨터에 oracle server의 ip 및 tnsname을 등록해놓는 파일 listener.ora : oracle server의 listener 작동을 위한 파일 (외부에서 접속할때 listener를 실행해서 접속) $TNS_ADMIN : network admin으로 갈수있는 경로 $ORACLE_HOME/network/admin : liste..
2022.11.15 -
오라클 DB - (open, close)상태에서 tablespace이동
오라클 관리자 실습과정 실습 5.7 OPEN 상태에서 tablespace 이동 (필) 사용 명령어 SQL> ALTER TABLESPACE OFFLINE; - 지정된 tablespace OFFLINE 한다. - Offline된 tablespace는 더 이상 접근이 불가능하다. SQL> ALTER TABLESPACE RENAME DATAFILE 2 TO ; - Data file 등록 정보 수정(rename 한다.) SQL> ALTER TABLESPACE ONLINE; - 지정된 tablespace를 ONLINE한다. 필요하다면 DATA FILE 레벨에서도 OFFLINE 가능하다. SQL> ALTER DATABASE DATAFILE '' OFFLINE [DROP]; - DROP은 데이터 파일 손상시 사용한다...
2022.11.15 -
데이터베이스 - 모델링(정규화)
모델링 기업이나 조직의 정보 구조를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문서화 하는 기법 정보 시스템의 중심을 데이터 관점에서 접근하는 분석 방법 개체 : table 관계 : foreign key 속성 : column 식별자 : primary key 모델링 개요 용어 file system - file, Record, Key, Field Data modeling - Entity, Tuple, Identifier, Attribute R-DB - Table(relation), Row(Instance), key, Column 정규화 정규화 장점 - 모델의 정확성 - 데이터 일치 - 모델의 단순성 - 중복의 최소화 정규화 목적 -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무결..
2022.11.15 -
오라클DB - 읽기전용 테이블스페이스
ora9i_fundmental1_vol1_kr 읽기 전용 테이블스페이스 - 명령어 ALTER TABLESPACE userdata READ ONLY; - 체크포인트 발생 -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음 - 테이블스페이스에서 객체 삭제 가능 - DROP가능(READ ONLY의 관한 정보는 딕셔너리, CONTROL FILES에 들어가있다.) 윈도우에서 1TB 파일을 지울때와 복사할때 차이점 - 복사에 비해서 삭제가 시간이 훨씬 빨리되는데 파일을 실제로 지우는게 아니라 그 파일의 등록정보만 삭제 시험 : 딕셔너리 조회 문제 많이 문제를 응용해서 문제를 낸다. 숙제 : 전 기수들 블로그 들어가서 확인 READONLY했는데 왜 DROP이 되는지 READONLY해도안해도 DROP이 되는데 왜 READONLY를 하는지 \..
2022.11.14 -
PHP - 배열
배열 배열은 간단히 여러 개의 변수를 모아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30개의 변수가 필요할 때 30개의 변수에 일일이 $a, $b, $c ...와 같이 이름을 붙이는 것은 매우 힘들지만 $a[1]에서 $a[30]까지 정의하면 간단히 변수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변수를 간단히 정의한 것을 배열이라고 한다. 1. 배열의 구조와 정의 배열은 구조에 따라 1차원 배열과 2차원 이상의 다차원 배열로 나눠진다. 배열의 차원이 늘어나도 배열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므로 1차원 배열에 적용된 다양한 프로그램 기법은 다차원 배열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1차원 배열 1차원 배열은 가장 기본적인 배열 구조로 선형으로 나열된 변수와 동일하다. $ar[1] = 'abc'; 배열은 배열의 이름과 킷(Key)값 그..
2022.11.11 -
오라클 DB - Tablespace와 data file
Tablespace와 data file 실습 5.1 Tablespace와 Data file 상태 조회 (필) 사용 명령어 SQL> SELECT tablespace_name, status, contents, 2 extent_management, segment_space_management 3 FROM dba_tablespaces; - Tablespace의 상태를 조회한다. - STATUS : 사용 가능여부 - CONTENTS : 저장 Segment의 종류 - EXTENT_MANAGEMENT : Extent의 할당 및 관리 방식 - SEGMENT_SPACE_MANAGEMENT : Block내의 공간 관리 방식 SQL> SELECT tablespace_name, bytes, file_name 2 FROM db..
2022.11.10